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78

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83

.NET Framework: 2053.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를 분석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135

.NET Framework: 2054. .NET Core/5+ SDK 설치 없이 dotnet-dump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6

.NET Framework: 2055.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7

.NET Framework: 2057.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모든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9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모든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지난 글을 통해 개별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했으니,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7

이제 순서에 따라 ^^ .NET Framework에서 그랬던 것처럼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자동 저장하는 방법을,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7

알아보겠습니다. ^^




windbg의 경우, plug-in 규약이 잘 돼 있어 파이썬 스크립트를 쓸 수 있는 pykd 확장이 있었고, 그것의 힘을 빌려 메모리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자동으로 추출하는데 그다지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반면, dotnet-dump는 아직 딱히 확장 기술이 없는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windbg의 ".writemem" 같은 명령어도 제공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과정을 매끄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리고 이 와중에 예전에 살펴봤던 ClrMD가 눈에 들어오는군요. ^^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43

ClrMD를 이용해 메모리 덤프 파일로부터 특정 인스턴스를 참조하고 있는 소유자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1809

자, 그럼 우선 우리가 해야 할 것은 닷넷 모듈을 찾는 것입니다.

// Install-Package Microsoft.Diagnostics.Runtime

// nuget - Microsoft.Diagnostics.Runtime 
// ; https://www.nuget.org/packages/Microsoft.Diagnostics.Runtime/

using Microsoft.Diagnostics.Runtime;

string dumpFilePath = @"C:\temp\core_20221007_000149.dmp";

using (DataTarget target = DataTarget.LoadDump(dumpFilePath))
{
    foreach (var module in target.EnumerateModules())
    {
        if (module.IsManaged == false)
        {
            continue;
        }

        Console.WriteLine($"{module.ImageBase:x} {module.ImageSize:x} {module.IsManaged} {module.FileName}");
    }    
}

출력 결과를 보면,

...[생략]...
7faa1c093000 64000 True /app/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dll
7fb6d0020000 42000 True /app/log4net.dll
7fb6d7c20000 55200 True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3.1.22/System.Net.WebClient.dll
...[생략]...

지난 글에 설명한 lm과 clrmodules의 결과와 비교해 또 다른 값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행히 ImageBase 주소는 같고, 단지 ImageSize가 경우에 따라 lm 출력보다 큰 값을 보입니다. (값이 크니 차라리 다행입니다.)

그럼, 이제 게임 끝이군요. 주소와 크기를 구했으니, 그에 해당하는 바이트 스트림을 구해 파일로 출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아래는 그 모든 코드를 다 합친 결과입니다.

using Microsoft.Diagnostics.Runtime;

string dumpFilePath = @"C:\temp\core_20221007_000149.dmp";
string outputDir = @"C:\temp\output";

using (DataTarget target = DataTarget.LoadDump(dumpFilePath))
{
    foreach (var module in target.EnumerateModules())
    {
        if (module.IsManaged == false)
        {
            continue;
        }

        Console.WriteLine($"{module.ImageBase:x} {module.ImageSize:x} {module.IsManaged} {module.FileName}");
        Span<byte> buffer = new byte[module.ImageSize];
        target.DataReader.Read(module.ImageBase, buffer);

        string fileName = Path.GetFileName(module.FileName);
        string outputFilePath = Path.Combine(outputDir, fileName);

        File.WriteAllBytes(outputFilePath, buffer.ToArray());
    }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dotnet-dump의 확장이 없는 것을 아쉬운 대로 redirection을 이용해 우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How can we script dotnet dump analyze command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1803641/how-can-we-script-dotnet-dump-analyze-commands

가령, 닷넷 모듈 주소를 구하는 결과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얻는 것도 가능합니다.

c:\temp> type cmds.txt
clrmodules
quit

c:\temp> dotnet-dump analyze core_20221007_000149.dmp < cmds.txt > output.txt

그럼, output.txt에는 대충 다음과 같은 출력을 얻을 수 있겠고!

Loading core dump: core_20221007_000149.dmp ...
Ready to process analysis commands. Type 'help' to list available commands or 'help [command]' to get detailed help on a command.
Type 'quit' or 'exit' to exit the session.
<END_COMMAND_OUTPUT>
> clrmodules
...[생략]...
00007FAA1C093000 00060A68 /app/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dll
00007FB6D0020000 0003F000 /app/log4net.dll
00007FB6D7C20000 00055200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3.1.22/System.Net.WebClient.dll
...[생략]...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34정성태8/1/201821609.NET Framework: 790. .NET Thread 상태가 Cooperative일 때 GC hang 현상 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3정성태7/29/201825543Graphics: 15. Unity - shader의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를 수작업으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11632정성태7/28/201827862Graphics: 14. C# - Unity에서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위치 이동 및 회전하는 방법
11631정성태7/27/201829824Graphics: 1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9) - 투명 배경이 있는 텍스처 입히기 [1]
11630정성태7/27/201825002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3]
11629정성태7/26/201823776.NET Framework: 789. C# 컴파일 옵션 - Check for arithmetic overflow/underflow [2]
11628정성태7/25/201825628Graphics: 1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8) - 다중 패스(Multi-Pass Shader)
11627정성태7/25/201820018개발 환경 구성: 390. C# - 컴파일러 옵션 OSS signing / Public Signing
11626정성태7/25/201818388오류 유형: 471. .C++ 함수를 const로 바꾼 경우 C2440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면?
11625정성태7/24/201817591Math: 49. GeoGebra 기하 (25) - 타원의 중심점 찾기파일 다운로드1
11624정성태7/24/201822003개발 환경 구성: 389. C# - 재현 가능한 빌드(reproducible builds) == Deterministic builds [4]
11623정성태7/24/201821425Math: 48. C# - 가우시안 함수의 이산형(discrete) 커널 값 생성파일 다운로드1
11622정성태7/23/201821599개발 환경 구성: 388. Windows 환경에서 Octave 패키지 설치하는 방법
11621정성태7/23/201819214VC++: 127. 멤버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외부에서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20정성태7/22/201822472Graphics: 11.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7) - Blur (평균값, 가우스, 중간값) 필터 [1]파일 다운로드1
11619정성태7/21/201821505Graphics: 10.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6) - Mosaic Shading
11618정성태7/20/201818571개발 환경 구성: 387. 삼성 오디세이(Odyssey) 노트북의 운영체제를 새로 설치하는 방법
11617정성태7/20/201819376Team Foundation Server: 50.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5) - "Rollback", "Rollback Entire Changeset"
11616정성태7/17/201818734Graphics: 9. Unity Shader - 전역 변수의 초기화
11615정성태7/17/201823086.NET Framework: 788. RawInput을 이용한 키보드/마우스 입력 모니터링파일 다운로드1
11614정성태7/17/201825288Graphics: 8. Unity Shader - Texture의 UV 좌표에 대응하는 Pixel 좌표
11613정성태7/16/201821601Graphics: 7.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5) - Flat Shading
11612정성태7/16/201820584Windows: 148. Windows - Raw Input의 Top level collection 의미
11611정성태7/15/201820802Graphics: 6.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4) - 퐁 셰이딩(phong shading)
11610정성태7/15/201817331Graphics: 5.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3)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 Texture
11609정성태7/15/201820279Graphics: 4.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2)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