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739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 How to Interop DISPPARAMS
; https://www.sysnet.pe.kr/2/0/617

.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
; https://www.sysnet.pe.kr/2/0/728

.NET Framework: 141.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737

.NET Framework: 16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10

.NET Framework: 169. [in, 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811

.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
; https://www.sysnet.pe.kr/2/0/912

.NET Framework: 472. C/C++과 C# 사이의 메모리 할당/해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84

.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099

.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 https://www.sysnet.pe.kr/2/0/11111

.NET Framework: 686. C# - string 배열을 담은 구조체를 직렬화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19

.NET Framework: 757. 포인터 형 매개 변수를 갖는 C++ DLL의 함수를 C#에서 호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33

.NET Framework: 978. C# - GUID 타입 전용의 UnmanagedType.LPStruct
; https://www.sysnet.pe.kr/2/0/12444

C/C++: 158. Visual C++ - IDL 구문 중 "unsigned long"을 인식하지 못하는 #import
; https://www.sysnet.pe.kr/2/0/13128

.NET Framework: 205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141

.NET Framework: 2083.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 (2)
; https://www.sysnet.pe.kr/2/0/13205

닷넷: 2152. Win32 Interop - C/C++ DLL로부터 이중 포인터 버퍼를 C#으로 받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429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


가끔 고객사의 질문이 재미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CallbackOnCollectedDelegate was detected
; https://www.sysnet.pe.kr/2/0/710

이번에도 위의 ^^ C/C++ 관련 질문을 했던 그 고객사에서 질문을 해왔는데요. C/C++의 Union 구조체를 C#에서 만들어서 Win32 DLL 함수에 전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고객사로부터 전달되어진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StructLayoutAttribute(LayoutKind.Explicit)]
public struct InvalidUnionStruct
{
    [FieldOffsetAttribute(0)]
    public uint uintValue;
    [FieldOffsetAttribute(0)]
    [MarshalAs(UnmanagedType.ByValArray, SizeConst = 10, ArraySubType = UnmanagedType.U2)]
    public ushort [] ushortArrays;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validUnionStruct union = new InvalidUnionStruct(); // 실행시키기 전에 오류 발생
}

오류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An unhandled exception of type 'System.TypeLoadException' occurred in Unknown Module.

Additional information: Could not load type 'InteropTest.InvalidUnionStruct' from assembly 'InteropTest,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null' because it contains an object field at offset 0 that is incorrectly aligned or overlapped by a non-object field.



무슨 오류인지 대강 설명이 되지요. managed에서의 배열은 참조형이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union 데이터 정렬에 맞춰질 수 없습니다. 단지, 오류가 나는 상황이 재미있는데 InvalidUnionStruct 구조체를 사용하기도 전에 Main 메서드가 JIT 컴파일되는 순간에 오류가 발생합니다.

문제 해결은 다음의 글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간단합니다.

Arrays inside of structures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ericgu/arrays-inside-of-structures

결국, C# 2.0부터 struct 멤버에 fixed 배열 선언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수정을 하면 정상적으로 빌드할 수 있습니다.

[StructLayoutAttribute(LayoutKind.Explicit)]
public unsafe struct UnionStruct
{
    [FieldOffsetAttribute(0)] public uint uintValue;
    [FieldOffsetAttribute(0)] public fixed ushort ushortArrays[10];
}




위와 같이 답변을 해주었는데, 또다시 메일이 왔습니다. 이번에는 그렇게 설정된 union 구조에 값을 넣고 Win32 DLL 함수에 전달하려는 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는 것이었습니다.

An unhandled exception of type 'System.TypeLoadException' occurred in InteropTest.exe

Additional information: Cannot marshal field 'ushortArrays' of type 'InteropTest.UnionStruct': Invalid managed/unmanaged type combination (this value type must be paired with Struct).

'InteropTest.UnionStruct' 형식의 'ushortArrays' 필드를 마샬링할 수 없습니다. 이 필드의 형식 정의에 레이아웃 정보가 있지만 관리되는/관리되지 않는 형식 조합이 잘못되었거나, 형식 정의를 마샬링할 수 없습니다.



보내온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StructLayoutAttribute(LayoutKind.Explicit)]
public unsafe struct UnionStruct
{
    [FieldOffsetAttribute(0)] public uint uintValue;
    [MarshalAsAttribute(UnmanagedType.ByValArray, SizeConst = 7, ArraySubType = UnmanagedType.I2)]        
    [FieldOffsetAttribute(0)]
    public fixed ushort ushortArrays[10];
}

오류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fixed 배열을 선언했기 때문에 더 이상 MarshalAs로 지정해서는 안되기 때문입니다. 즉, "Invalid managed/unmanaged type combination"라는 메시지가 지적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물론, MarshalAs 특성을 제거하면 오류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습니다.




몇 가지 재미있는 팁을 더 알려드리자면.

이렇게 fixed를 포함하는 구조체의 크기를 구하려면 다음과 같이 2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UnionStruct item = new UnionStruct();
item.uintValue = 5;

int marshalSize;

// 첫 번째 방식: unsafe 문맥 안에서 sizeof 호출
unsafe
{
    marshalSize = sizeof(UnionStruct);
}

// 두 번째 방식: Marshal.SizeOf를 사용하여 인스턴스의 크기를 반환
int marshalSize = Marshal.SizeOf(item);         

fixed로 지정된 배열의 크기에 따라 위의 2가지 방식에서 속도 차이가 확연하게 납니다.

10개
첫 번째 방식: 18
두 번째 방식: 65

100000개
첫 번째 방식: 18
두 번째 방식: 2607

* Stopwatch 사용

아시겠지요? 첫 번째 방식은 타입 정보에 있는 것을 가져오는 정도로 끝나지만 두 번째 방식은 런타임 시에 해당 인스턴스의 메모리 구조를 열람하면서 크기를 구하는 것입니다. (비록 첫 번째 방식이 빠르긴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반드시 두 번째 방식을 써야할 때도 있습니다.)




구조체를 Win32 DLL에서 export하고 있는 함수에 넘겨주는 방법도 2가지입니다. (사실, 코드를 꼬는 방법에 따라서 더 다양해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위의 구조체를 전달받는 C/C++ API의 signature가 다음과 같은 경우,

__declspec(dllexport) int fnInteropWin32(UnionStruct *Struct);

간단하게 DllImport에 ref 키워드를 사용해서 전달하는 방법과,

[DllImport("InteropWin32.dll")]
public static extern int fnInteropWin32(ref UnionStruct Struct);

UnionStruct item = new UnionStruct();
item.uintValue = 5;

fnInteropWin32(ref item)

ref 참조 전달 방식이 아닌 IntPtr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DllImport("InteropWin32.dll")]
public static extern int fnInteropWin32(IntPtr pStruct);

UnionStruct item = new UnionStruct();
item.uintValue = 5;

int marshalSize;

unsafe
{
    marshalSize = sizeof(UnionStruct);
}

IntPtr pStruct = Marshal.AllocCoTaskMem(marshalSize);

Marshal.StructureToPtr(item, pStruct, false);
fnInteropWin32(pStruct);

Marshal.FreeCoTaskMem(pStruct);

이때 주의할 점은, 반드시 AllocCoTaskMem으로 할당한 메모리를 FreeCoTaskMem으로 풀어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말할 필요도 없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메모리 누수 현상이 발생합니다.)

어느 방법을 선호할지는 개인 취향이겠지만, 당연히 ref를 이용한 참조 전달이 바람직하겠습니다. 물론 Interop이 매우 복잡한 경우에는 IntPtr로 구성해야 하는 경우도 생길 수도 있겠지만.

* 첨부된 솔루션 파일은 위의 사항을 테스트해볼 수 있는 C/C++ 프로젝트와 C# 프로젝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3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50정성태10/2/20062063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28389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3602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4068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7024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7306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5045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1843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5598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0509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39583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0481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2756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2703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2979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2891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2639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282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2781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195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3636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3778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461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2729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2633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2779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