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지난번에, 아래의 토픽에서 문제만 제시하고 지나갔었는데, 기억하실 분이 계시려나 모르겠습니다. ^^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https://www.sysnet.pe.kr/2/0/396

그때 "FIX: When you run Windows Update to scan for updates that use Windows Installer, including Office updates, CPU utilization may reach 100 percent for prolonged periods" 관련한 토픽에서 제시된 윈도우즈 패치를 "마이크로소프트 고객 지원센터"에 연락해서 받은 후 설치를 했지만 결과는 똑같았습니다. 그러고는 그냥 포기하고 얼마 후에 윈도우즈 비스타로 업그레이드 한 이후, 그냥 흐지부지 되고 말았습니다.




그런데 ^^; 오늘 아래와 같은 내용이 담긴 한통의 메일이 왔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svchost.exe가 윈도우 업데이트 검색 시작시에 
엄청난 자원을 쓰면서 컴퓨터를 느리게 한다는 것을 
오늘에서야 알게 되어서 여러 글을 찾아보다가 님을 글을 보았습니다.
혹시 글에 적으신 내용과 같이 MS로부터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나 파일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일단 저는 해결책이 없어서 윈도우XP의 자동 업데이트 서비스를 꺼버렸습니다. 
컴퓨터 콜드 부팅할 때마다 백그라운드로 돌아서 부팅 직후 엄청난 CPU 사용률로 컴퓨터를 
약 5분 동안 쓸 수가 없는 상태를 만들어버리더라구요.


아... 잊고 있었던 것을, 그만 되살려 내고 말았습니다. ^^;

그래서, 그사이 아마도 어지간히 이슈가 되지 있지 않았을까 싶어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오호... 그런데 제법 쓸만한 대답이 나왔습니다.

Title: svchost.exe at 100% CPU usage during windows update
; http://72.14.253.104/search?q=cache:Z8V4Iiz1migJ:www.experts-exchange.com/Operating_Systems/WinXP/Q_22095560.html+Microsoft+Update+(MU),+it%27s+your+default.+If+so,+see+if+changing+the&hl=ko&ct=clnk&cd=1&gl=kr

문제인 즉, "http://windowsupdate.microsoft.com"에서 제공되는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MU)" 기능이, 단지 "윈도우즈"에 한해서 업데이트를 체크하는 것이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 제품 전반에 걸친 업데이트를 체크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오피스" 제품, "Visual Studio.NET" 제품, ".NET Framework" 제품, "SQL Server" 등이 서비스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업데이트를 체크하도록 하지 말고, 순수하게 "윈도우즈"만 업데이트 체크를 하도록 바꾸면 CPU 100% 현상이 해결된다고 합니다.




자, 그럼 자신의 업데이트 환경을 어떻게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MU - Microsoft Update)"에서 "윈도우즈 업데이트(WU - Windows Update)"로 수정할 수 있을까요? ^^ 그냥 아래의 그림대로 따라해 주시면 됩니다.

1.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시키고, "도구" 메뉴에서 "Windows Updat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좌측 메뉴에 "설정 변경(Change settings)" 메뉴를 선택합니다.

change_microsoft_update_to_window_update_1.png

3. 우측 영역이 바뀐 후에 스크롤 바를 조금 내리면 아래와 같은 "Microsoft Update 사용 중지" 선택을 할 수 있는 옵션이 나옵니다. 만약 이것이 없다면 여러분의 컴퓨터는 그동안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MU)" 서비스를 받은 것이 아니라 "윈도우즈 업데이트(WU)" 서비스를 받은 것입니다. 아래의 화면은 바로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MU)"를 받고 있는 경우에만 나오므로 만약 나오지 않았다고 하면 "CPU 100% 현상"이 없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굳이 더 읽으실 필요가 없겠습니다.

change_microsoft_update_to_window_update_2.png

화면에서 보시는 것처럼 "Microsoft Update 소프트웨어를 비활성화하고 Windows Update만 사용합니다." 옵션을 설정하고 "변경 사항 지금 적용" 버튼을 누릅니다.

4.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자동 업데이트로 인한 "CPU 100%" 현상은 없어졌을 것입니다.




물론, 이렇게 설정한 이후에는 윈도우즈 이외의 업데이트는 별도로 사용자가 부지런하게 설치를 해주시거나, 일정 기간마다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를 한 번쯤 사용하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로, 오피스 같은 경우에는 다음의 사이트에서 업데이트 서비스가 제공이 됩니다.

오피스 업데이트
; http://office.microsoft.com/en-us/downloads/FX101859091033.aspx

어쨌든, 마이크로소프트가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MU)"의 동작 성능 개선을 하는 것이 최선의 해결책이겠지만, 그때까지는, 파워 유저라면 "WU"를 사용하고, 일반 유저라면 "MU"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을 듯 싶군요.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7-02-15 10시28분
[anon] 감사합니다.. 저도 이글 보고 해결했습니다..
앞으로도 멋진내용 부탁드립니다..

안녕히 계세요.. ^^
[guest]
2007-02-15 10시32분
^^
kevin25
2008-02-18 03시16분
kevin25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35정성태8/1/201818719오류 유형: 472. C# 컴파일 오류 - Your project is not referencing the ".NETFramework,Version=v3.5" framework.
11634정성태8/1/201821681.NET Framework: 790. .NET Thread 상태가 Cooperative일 때 GC hang 현상 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3정성태7/29/201825654Graphics: 15. Unity - shader의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를 수작업으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11632정성태7/28/201827954Graphics: 14. C# - Unity에서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위치 이동 및 회전하는 방법
11631정성태7/27/201829907Graphics: 1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9) - 투명 배경이 있는 텍스처 입히기 [1]
11630정성태7/27/201825034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3]
11629정성태7/26/201823824.NET Framework: 789. C# 컴파일 옵션 - Check for arithmetic overflow/underflow [2]
11628정성태7/25/201825664Graphics: 1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8) - 다중 패스(Multi-Pass Shader)
11627정성태7/25/201820066개발 환경 구성: 390. C# - 컴파일러 옵션 OSS signing / Public Signing
11626정성태7/25/201818424오류 유형: 471. .C++ 함수를 const로 바꾼 경우 C2440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면?
11625정성태7/24/201817658Math: 49. GeoGebra 기하 (25) - 타원의 중심점 찾기파일 다운로드1
11624정성태7/24/201822091개발 환경 구성: 389. C# - 재현 가능한 빌드(reproducible builds) == Deterministic builds [4]
11623정성태7/24/201821472Math: 48. C# - 가우시안 함수의 이산형(discrete) 커널 값 생성파일 다운로드1
11622정성태7/23/201821623개발 환경 구성: 388. Windows 환경에서 Octave 패키지 설치하는 방법
11621정성태7/23/201819234VC++: 127. 멤버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외부에서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20정성태7/22/201822493Graphics: 11.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7) - Blur (평균값, 가우스, 중간값) 필터 [1]파일 다운로드1
11619정성태7/21/201821534Graphics: 10.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6) - Mosaic Shading
11618정성태7/20/201818623개발 환경 구성: 387. 삼성 오디세이(Odyssey) 노트북의 운영체제를 새로 설치하는 방법
11617정성태7/20/201819398Team Foundation Server: 50.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5) - "Rollback", "Rollback Entire Changeset"
11616정성태7/17/201818762Graphics: 9. Unity Shader - 전역 변수의 초기화
11615정성태7/17/201823104.NET Framework: 788. RawInput을 이용한 키보드/마우스 입력 모니터링파일 다운로드1
11614정성태7/17/201825333Graphics: 8. Unity Shader - Texture의 UV 좌표에 대응하는 Pixel 좌표
11613정성태7/16/201821633Graphics: 7.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5) - Flat Shading
11612정성태7/16/201820598Windows: 148. Windows - Raw Input의 Top level collection 의미
11611정성태7/15/201820830Graphics: 6.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4) - 퐁 셰이딩(phong shading)
11610정성태7/15/201817383Graphics: 5.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3)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 Texture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