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OpCodes.Box와 관련해 IL 형식으로 직접 코딩 시 유의할 점

C# 코드에서 object에 값 형식을 전달하는 코드를 보면,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token = new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LogOutput(token); // boxing
        Console.WriteLine("End-of-Test4");
    }

    static void LogOutput(object instance)
    {
        Console.WriteLine(instance ?? "null");
    }
}
/* 출력 결과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End-of-Test4
*/

token 인스턴스가 자연스럽게 object에 대입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과정을 IL 코드로 보면 box 코드가 관여합니다.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il managed
{
    .entrypoint
    .maxstack  1
    .locals init ([0] valuetype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token)
    IL_0000:  nop
    IL_0001:  ldloca.s   token
    IL_0003:  initobj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IL_0009:  ldloc.0
    IL_000a:  box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IL_000f:  call       void Program::LogOutput(object)
    IL_0014:  nop
    IL_0015:  ldstr      "End-of-Test4"
    IL_001a:  call       void [mscorlib]System.Console::WriteLine(string)
    IL_001f:  nop
    IL_0020:  ret
} // end of method Program::Main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LogOutput(object 'instance') cil managed
{
    // ...[생략]...
}

위의 경우 box 연산자와 함께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문자열 형식을 전달하는데, 이것은 IL 언어에서 문법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고 만약 바이트를 직접 출력하는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해야 합니다.

0x8c, 0x01000011

// box IL 코드 == 0x8c
//
// 0x01000011 ==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타입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토큰값




그런데, 여기서 실수를 해 box 연산자를 누락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실제로 위의 IL 소스 코드에서 box 라인만 주석 처리해,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il managed
{
    // ...[생략]...
    IL_0009:  ldloc.0
    // IL_000a:  box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IL_000f:  call       void Program::LogOutput(object)
    IL_0014:  nop
    IL_0015:  ldstr      "End-of-Test4"
    IL_001a:  call       void [mscorlib]System.Console::WriteLine(string)
    // ...[생략]...
}

ilasm.exe로 exe를 생성/실행하면 화면에는 "(null)"이라는 출력이 나옵니다. 그나마 동작을 하는 듯하지만, 이것은 사실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 맞습니다. 이번엔 의도와는 다르게 출력이 되었어도 운이 좋게 프로그램이 종료하지는 않았는데요, 이 코드에서 다음과 같이 직접 정의한 구조체로 바꿔보면,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Struct token = new MyStruct();
        LogOutput(token);
        Console.WriteLine("End-of-Test4");
    }

    static void LogOutput(object instance)
    {
        Console.WriteLine(instance ?? "null");
    }
}

public struct MyStruct
{
    public int Age;
    public string Name;
}

이번에는 프로그램이 비정상 종료하면서 이벤트 로그에 다음과 같은 유형의 오류들이 쌓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NET Runtime
Date:          2018-09-23 오전 11:22:53
Event ID:      1023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Application: console.exe
Framework Version: v4.0.30319
Description: The process was terminated due to an internal error in the .NET Runtime at IP 00007FF83A503E30 (00007FF83A500000) with exit code 80131506.

Log Name:      Application
Source:        Application Error
Date:          2018-09-23 오전 11:22:53
Event ID:      1000
Task Category: (100)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Faulting application name: console.exe, version: 0.0.0.0, time stamp: 0x5f8660ca
Faulting module name: clr.dll, version: 4.8.4250.0, time stamp: 0x5f2a059c
Exception code: 0xc0000005
Fault offset: 0x0000000000003e30
Faulting process id: 0x6060
Faulting application start time: 0x01d6a1d0ebe4a979
Faulting application path: C:\temp\bin\Debug\console.exe
Faulting module path: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lr.dll
Report Id: a4412515-d89d-462a-9df6-1f428b6ad155
Faulting package full name: 
Faulting package-relative application ID: 

Log Name:      Application
Source:        Windows Error Reporting
Date:          2018-09-23 오전 11:22:55
Event ID:      1001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Fault bucket 1335692000105475064, type 4
Event Name: APPCRASH
Response: Not available
Cab Id: 0

Problem signature:
P1: console.exe
P2: 0.0.0.0
P3: 5f8660ca
P4: clr.dll
P5: 4.8.4250.0
P6: 5f2a059c
P7: c0000005
P8: 0000000000003e30
P9: 
P10: 

Attached files: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4D67.tmp.WERInternalMetadata.xml

These files may be available here: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ReportArchive\AppCrash_console.exe_cc693ced9f02ff1fad4971022e1a719ec05145_c6eba193_bcbd42d7-ebe2-4c60-9a33-8dbc2d5cc5ee

Analysis symbol: 
Rechecking for solution: 0
Report Id: a4412515-d89d-462a-9df6-1f428b6ad155
Report Status: 268435456
Hashed bucket: eedc651829064f20028954cc1b9e2bf8
Cab Guid: 0

재현을 하진 못했지만, 어떤 때는 해당 코드를 가진 메서드의 실행 시 "System.Security.Verific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값 형식을 object로 넘길 때는 box 연산을 반드시 잊지 않고 사용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4/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28정성태10/9/201824425사물인터넷: 50.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1]
11727정성태10/8/201825948오류 유형: 491. Visual Studio의 리눅스 SSH 원격 연결 - "Connectivity Failure. Please make sure host name and port number are correct."
11726정성태10/7/201829093사물인터넷: 49.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해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24정성태10/5/201829032개발 환경 구성: 407.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파일 다운로드1
11723정성태10/4/201819989개발 환경 구성: 406. "Docker for Windows" 컨테이너 내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
11722정성태10/4/201825761.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21정성태10/4/201826193.NET Framework: 797. Linux 환경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20정성태10/4/201827580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11719정성태10/4/201828356.NET Framework: 796.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11718정성태10/4/201823150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11717정성태10/3/201824912사물인터넷: 48. 넷두이노의 C# 네트워크 프로그램 [1]
11716정성태10/3/201826358사물인터넷: 47. Raspberry PI Zero (W)에 FTDI 장치 연결 후 C/C++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15정성태10/3/201824030사물인터넷: 46. Raspberry PI Zero (W)에 docker 설치
11714정성태10/2/201824425사물인터넷: 45. Raspberry PI에 ping을 hostname으로 하는 방법
11713정성태10/2/201825099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11712정성태10/2/201830918.NET Framework: 795. C# - 폰트 목록을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구하는 방법 [3]
11711정성태10/2/201825748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11710정성태10/2/201825346.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5]
11709정성태9/30/201824168개발 환경 구성: 402.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docker로 실행/디버깅하는 방법 [1]
11708정성태9/30/201827480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1707정성태9/30/201829046오류 유형: 489. ASP.NET Core를 docker에서 실행 시 "Failed with a critical error." 오류 발생 [1]
11706정성태9/29/201823100개발 환경 구성: 400. Synology NAS(DS216+II)에서 실행한 gcc의 Segmentation fault [2]
11705정성태9/29/201823623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11704정성태9/29/201829643기타: 73. Synology NAS 신호음(beep) 끄기 [1]파일 다운로드1
11703정성태9/27/201822344개발 환경 구성: 398. Blazor 환경 구성 후 빌드 속도가 너무 느리다면? [2]
11702정성태9/26/201820095사물인터넷: 44. 넷두이노(Netduino)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